보라


오늘은 축의금 봉투 쓰는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대로 알고 축의금 봉투에 이름을

써보시기 바랍니다.



얼마 전까지 봄날이라 결혼식 시즌이었죠

나이를 먹은게 체감되는 것이

한달에 결혼식을 2~3건씩 참석하게 됐습니다.



친구들도 친구들이지만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참여해야하는 경조사가 많이 생깁니다.

이게 결혼식 축의금도 엄청 부담이 됩니다.

한달에 두 건만 있어도 타격이 큽니다.



각설하고 오늘은 축의금 봉투 쓰는법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축의금 봉투 작성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봉투선이 없는

깔끔한 면이 봉투의 앞면 입니다.

앞면에는 주로 축하 메시지를 씁니다.



결혼식 축하메시지로는 주로

축결혼, 축화혼, 축성전, 축성혼, 하의 등의

메시지를 많이 적습니다.

이 때 주의하실점은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있는데 신부측의 경우에는

축화혼을 많이 쓴다고 합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남녀구분없이

주로 [축결혼]을 많이 쓴다고 합니다.



그럼 축의금 봉투 쓰는법 중에

이름 쓰는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름은 봉투선이 보이는 축의금 봉투

뒷면에다 쓰시면 됩니다.

봉투 좌측에 이름을 적어주시면 되는데

소속이 있다면 소속도 함께

적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회사의 경우 회사명을 적어주시고

대학동기면 "무슨무슨 대학동창"

이런식으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그냥 친구라면 이름만 적으셔도 무방합니다.



이상으로 축의금 봉투 쓰는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드렸습니다.

정리하면 축의금 봉투 이름 쓰는법은

뒷면에 소속과 함께 적어주시면 되고

앞면에는 축하메시지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간혹 봉투에 금액을 함께

기재하시는분들이 있는데 이는 예의가

아니라고하니 참고 바랍니다.